2025년 4대보험 요율 및 근로자 부담율 안내

 

직장에서 4대보험료는 급여에서 자동으로 계산되며, 매년 새롭게 정해지는 4대보험 요율에 따라 부담금이 결정됩니다. 2025년 건강보험 요율은 작년과 동일하게 7.09%로 유지되며,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3.545%를 부담합니다. 장기요양보험 요율 역시 동결되어 0.9182%로 유지됩니다.




4대보험 계산기 바로가기👈

▲위 버튼을 누르시면 계산기로 이동합니다▲



2025년 4대보험 요율 부담금

구분 합계 근로자 부담 사업자 부담
국민연금 9% 4.5% 4.5%
건강보험 7.09% 3.545% 3.545%
건강보험 - 장기요양보험 0.9182% 50% 50%
고용보험 1.8%+고용안정 등 0.9% 0.9%+고용안정 등
산재보험 사업종류에 따라 0% 사업종류에 따라



  • 국민연금 요율은 2025년 인상이 예정되어 있으나, 변동이 없을 경우 9%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.
  •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요율은 작년과 동일합니다.





4대보험 계산기👈





2025년 4대보험 요율 계산방법


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

  • 보수월액보험료(월) = 보수월액 × 보험료율(7.09%)
    • 근로자와 사업주 각각 50% 부담
  •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(월) = 보수 외 소득월액 × 보험료율(7.09%)


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

  • 지역보험료(월) = [소득월액 × 보험료율(7.09%)] + [재산보험료부과점수 × 208.4원] (동결)

장기요양보험료

  • 장기요양보험료 = 건강보험료 × (0.9182% / 7.09%)





4대보험 계산기 바로가기👈





2025년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요율

구분 부담률
150인 미만 기업 0.25%
150인 이상(우선지원대상기업) 0.45%
150인 이상 1,000인 미만 기업 0.65%
1,000인 이상 기업 및 국가/지방자치단체 0.85%


추가 정보

  • 2025년 장애인활동지원급여 월한도액 및 최저시급 계산기 등의 자료는 관련 기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
2025년 4대보험 요율과 계산 방법을 참고하여 급여 관리에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




다음 이전